부가세 신고서를 레포트 페인터로 생성할 수 있다.
레포트를 CBO로 개발하는 경우, 레포트 구성 요소를 변경할 떄마다 개발 공수가 발생하기 때문에 유지보수가 어려운 면이 있다.
하지만 레포트 페인터로 구현하면 간단한 수정은 금방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확장성 측면에서 CBO개발에 비해서 훨씬 유지보수가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CBO개발이 한 본정도는 필요한데, 이유는 BSET 테이블에서 직접 데이터를 가져오는 방법도 있지만, 이 경우 신고에서 제외되는 경우나 전표 없이 신고에 포함되어야 하는 경우 데이터 삽입이나 삭제가 어렵다. 그렇기 때문에 CBO 테이블에 한번 데이터를 담는 과정이 필요하다.
CBO테이블에 BSET테이블의 데이터 중 신고에 필요한 데이터만 추출하여 담고 나면 해당 테이블을 레포트 페인터에서 활용하는 방식으로 구현하게 된다.

회사코드와 회계연도, 분기, 사업장을 입력하고 실행하면 일반과세자 신고서, 세금계산서 합계표가 조회되도록 구현한다.

회사가 필요로하는 부가가치세 신고서의 부속명세서를 추가로 만들 수도 있다.
실제 신고서 양식으로는 출력이 불가능하다. 신고서 형태의 출력을 원하면 CBO로 개발해야 하는데, 사실 전산매체 파일 생성만 CBO로 만들고, 신고서 파일을 홈택스에 업로드해서, 출력물은 홈택스에서 출력하는 것이 개발 공수를 아낄 수 있을 것이다.
레포트 페인터로 구현의 장점 중에 하나가 더블 클릭 시 드릴 다운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상세 내역을 확인하는 레포트를 CBO로 구현하여 해당 세부 내역을 자세히 보여줄 수 있다.

그리고 전표번호를 클릭했을 때, 전표까지 확인(FB03)하게 하면 사용자의 편의성도 만족시켜줄 수 있을 것이다.

장점
- 유지보수 용이성: 레포트 페인터는 간단한 수정이 쉽게 적용되며, 확장성이 뛰어남.
- 드릴 다운 기능: 더블 클릭으로 상세 데이터를 바로 확인 가능.
- 개발 공수 절감: 전산매체 파일만 CBO로 개발하고 출력은 홈택스를 통해 처리 가능.
- 사용자 편의성: 전표 확인까지 가능하도록 연동 가능.
단점
- 초기 CBO 개발 필요: BSET 데이터를 적절히 처리하기 위한 CBO 테이블 개발이 선행되어야 함.
- 신고서 출력 제한: 레포트 페인터로는 신고서 양식으로 출력할 수 없으며, 홈택스 업로드 후 출력해야 함.
#부가세 #부가세집계 #리포트 #부가세신고서 #세금계산서합계표 #부가가치세 #부가가치세집계 #세무관리 #레포트페인터 #reportpainter #reportwriter

답글 남기기